말과 문화/맞춤법 3

민주주의의 의의 어떻게 읽을까?

민주주의의 의의 이 글자를 보면, 어떻게 읽어야 할지 멈칫 하게 되는 말이죠 ㅎㅎ 다 초등학교때 다 배우셨을텐데요, 배웠음에도 시간이 지나니 헷갈리게 되더라구요~ '의'자 읽기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로 읽기도 하는데... 어떤걸 '이'로 읽고 어떤걸 '의'로 읽어야 할까요? 다시금 떠올려 보기로 해요!!!!! '의'라는 단어는, 처음에 오게되면 '의'자로 읽고 뒤에오면 '이'로 읽는것이 맞습니다. 민주주의의 나의 너의 같이 조사로 쓰일 때에는 '에'로 읽는것도 가능합니다. 그러니, '민주주이의 의이' 또는 '민주주이에 의이' 라고해도 맞는 것이지요. 에피소드가요, 공무원인지 관공서 였던것 같은데 동의대학교(동이대학교) 라는말을 못알아 들으시더라구요 ㅎㅎ 그래서 동의(동의)요!!!!라며 꾹꾹 눌러 ..

돈까스가 맞을까? 돈가스가 맞을까?

얼마전에는 한글날 이었습니다. 백성이 글을 몰라서 무엇이 죄 인지도 모르고 죄를 짓고, 억울함을 호소할 길도 없음을 가엾게 여기신 세종대왕께서 한글을 창제해 주셨는데요, 자신의 글이 없는 나라도 많은 가운데, 우리 말과 우리 글 우리 문화가 있다는 것은 정말 자랑스럽고 감사한 것입니다. 그래서 멍멍이를 댕댕이 라고 하는 식의 야민정음이나 한글파괴들 보면 정말 안타깝고 슬픕니다. 또한 요즘에는 휴대폰 사용이 많아짐에따라 띄어쓰기나 맞춤법이 더 많이 틀리고 어긋나게 되고 우리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요, 틀리기 쉽고 헷갈리는 말들 한번 알아보도록 할게요~ 틀린 표현 맞는 표현 설명 케잌 테잎.테입 케익, 케이크 테이프 외래어를 표기할때,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 만을 씀. 까페, 돈까스..

두음법칙, 자음동화, 사이시옷

세상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뛰어난 문자를 사용하고 있지만 우리는 다른 언어들의 문법과 글을 익히기에 바쁜데요, 종종 헷갈리고 많이 틀리는 맞춤법에 대해 제대로 알아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냥 써 왔던 것들이 알고보면 법칙이 있었던 것이었어요 ㅎㅎ 우리는 영어공부 할때, 문법을 힘들게 공부 하지만, 본국민들은 쉽게 구사하게되고, 우리는 쉽게 사용하지만,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공부할때 문법을 어려워 하는 것과 마찬가지 입니다. 1. 두음법칙 일부의 소리가 단어 처음에 발음되지 않고 다른 소리로 발음되는 것으로, 한자음 녀, 뇨, 뉴, 니 라는 말이 단어 첫머리에 올때, 두음법칙에 따라 여, 요, 유, 이로 적고 랴, 려, 례, 료, 류, 리가 단어 첫머리에 올 때에는 야, 여, 예, 요, 유, 이로 적으며 라..